재테크

삼성전자, 삼성전자 우 배당일, 배당금 알아보기

태평한다람쥐 2021. 4. 7. 12:21

분기별로 배당주는 삼성전자, 삼성전자우!

둘 다 보유하고 있어서 써봅니다.
2021년 기준입니다. 참고용임!

 

21' 삼성전자 배당 일정

  1Q 2Q 3Q 4Q
배당부 (매수 마감날) 3월 29일  6월 28일 9월 28일 12월 28일
배당락일 3월 30일 6월 29일 9월 29일 12월 29일
배당기준일 3월 31일 6월 30일 9월 30일 12월 30일
배당지급일 5월 20일 8월 20일 11월 19일 4월 20일 (2022년)
배당금(1주, 세전금액) 354원 354원 354원 354원
삼전우 배당금
(1주, 세전금액)
355원 355원 355원 355원

참고로 '20년 기말배당(4분기)에서는 특별배당금이 추가되어
삼성전자 1,932원(354원 + 1,578원), 삼성전자우 1,933원(354원 + 1,578원)가 나왔었다.

이번 달에 나오겠군 유후~

 

 

배당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간단한 설명! 

배당기준일이란 이 날까지 보유한 주식에 대해서 배당을 주겠다!고 해석하면 안된다. 
이 날 주주명단에 올라간 사람에게 주겠다는 말이다.

우리나라엔 D+2제도가 있다.
쉽게 생각해보자. 주식을 매도해도 2일 뒤에 출금이 가능하지 않나? 매수 할 때에도 똑같다. 
화면상으로는 매수하자마자(D-day) 내가 산 주식 바로 뜨지만, 실질적인 주주가 되는 것은 D+2일 때인 것이다.

그래서 배당기준일을 D+2일로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이건 거래일만 세는 것이다. 주말/공휴일까지 세면 안됨!
(금요일에 샀다고 일요일에 출금 가능하지 않는 것을 생각하쟈...)


🙆‍♀️ 여기까지 일단 이해가 되었으면 배당락으로 넘어간다.
 

배당락은 당기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어진 주가의 상태를 말한다. 
그러므로 배당락일은 내가 가지고 있는 주가의 상태가 배당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날을 의미한다.
표를 보면 배당기준일의 전날이 배당락일이다. 왜일까?

왜긴!! 위에서 이야기했듯이 배당락일(D)에 산 주식의 D+2일은 배당기준일(D+1) 다음날이 된다. 즉, 배당받을 주주들의 명단이 이미 넘겨진 후에, 내가 실질적 주주가 되었다는 소리. 🤦‍♀️oh god-🤦‍♂️ 그래서 이 날 산 주식은 배당받을 수 없다.


자,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디데이를 체크해야한다. 이 날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기준일에 주주명단에 오를 수 있다. = 배당을 받을 수 있다.  (= 배당부附일라고 불러요.)

📅 달력에 별표해두자~🌟

 

참고!! 배당락전날까지 주가가 오를 수 있다. 이유는 배당받으려고 부랴부랴 매수하는 사람들이 많아져서.
반대로 배당락부터 주가가 떨어지는 일도 많다. 이 날부터는 배당 못받으니 어제까지 산 주식을 팔아도 되니까!
요런 분위기를 노리고 매수/매도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삼성전자 배당조회 서비스가 있다.

 

삼성전자 배당조회 Web Service란?
배당기준일에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신 주주분들이 배당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는 Web Service 입니다.

 

삼전은 이제 우편으로 배당금 통지서를 보내주지 않기에 생긴 온라인 서비스이다. 
회원가입만 하면 본인이 배당금을 얼마나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dividend.samsung.com/

 

삼성전자 배당조회 Web Service

3분기 배당조회 회원가입 및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로그인 삼성전자 배당조회 Web Service란? 배당기준일에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신 주주분들이 배당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는 Web Service

dividend.samsung.com